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306

노션(Notion) 라이트/다크 테마 변경 노션에서도 다른 노트 App과 마찬가지로 다크(Dark) 테마를 지원한다. ① 좌측에서 [설정과 멤버] 선택 ② 좌측 [테마]에서 "라이트 모드" 혹은 "다크 모드" 선택 라이트 모드 (Light Mode) 다크 모드 (Dark Mode) Coding 작업자체는 다크테마가 눈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어서 좋은데 블로그 포스팅 작업과 같이 이미지를 포함한 편집작업까지 하는 경우 다크 테마가 마냥 편하지는 않은것 같다. 2021. 7. 30.
[BOJ] 백준 2210 숫자판 점프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2210 Approach 모든 Case를 비교해야 하므로 완전탐색 유형에 속한다. 완전탐색 기법이란? 가능한 모든 값을 대입해보는 무식한(?) 방법에 해당된다. 문제 내용 속에서 특정 규칙을 찾아서 모든 Case를 대입해보지 않고도 풀리는 경우도 있지만 충분한 제한 공간과 시간이 주어진다면 zoosso.tistory.com 5 * 5 칸에 인접한 4가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52 × 45 = 25600 에 해당한다. 또한 전형적인 DFS 유형 문제이기도 하다 깊이 우선 탐색(depth-first search, DFS) DFS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방문할 때 최대한 깊숙히 정점을 방문하는 방식입니다. - Stack 이용 즉, 연결된 정점을 .. 2021. 7. 29.
[C++] [STL] Set Set - 중복 없는 원소만을 가지는 집합 같은 것이다. (중복 허용 X) - 헤더파일: #include - set에 들어가는 원소는 자동으로 정렬된다. - set은 기본적으로 오름차순(less) 정렬이고 greater 조건자로 내림차순 정렬 가능 - 내부적으로 균형 이진탐색트리(Balanced Binary Search Tree)로 구현되어 있다. - 중위 순회 구조 관련 함수 - insert(value): value 원소 추가 - insert(iter, value): iter가 가리키는 위치 부터 value 원소를 삽입할 위치 탐색하여 삽입 → insert 함수는 이미 존재하는 원소 삽입 시 아무일도 발생하지 않는다. → pair 타입으로 return 받으면 second값을 통해 이미 존재하는 원소인지.. 2021. 7. 29.
[STL] unique 함수 활용한 vector 중복 원소 제거 unique 함수란? - 헤더파일: #include - vector 배열에서 원소를 중복없이 앞쪽에 채워주는 함수이다. - 기존 크기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앞쪽에 채워지고 남은 뒷공간에 원소들이 그대로 존재한다. ex. {2, 3, 3, 4, 5, 5, 1, 1, 1} → {2, 3, 4, 5, 1, 5, 1, 1, 1} 중복 없는 unique한 원소를 앞쪽에 배치해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원소 배치 및 개수에 따라 뒤쪽에 중복 원소들이 있을 수 있는데 erase 함수 활용해서 제거할 수 있다. 즉, vector의 중복 원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해주는 것으로는 STL 중 set 이 존재한다. ▶ [C++] [STL] Set [C++] [STL] Set Set - 중복 없는 원소만을 가지는 .. 2021. 7. 29.
[BOJ] 백준 2309 일곱 난쟁이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2309 Approach 완전탐색 유형 문제이다. 완전탐색 기법이란? 가능한 모든 값을 대입해보는 무식한(?) 방법에 해당된다. 문제 내용 속에서 특정 규칙을 찾아서 모든 Case를 대입해보지 않고도 풀리는 경우도 있지만 충분한 제한 공간과 시간이 주어진다면 zoosso.tistory.com - 9명의 난쟁이 중에서 7명 선택해서 그 숫자의 합 = 100 이면 된다. - 출력 시, 오름차순으로 해야 하기에 선택 전/후로 오름차순 정렬시켜준다. ▶ 순열과 조합 순열과 조합 (백준 N과 M 시리즈) 순열과 조합 순열(Permutation) / 조합(Combination)에서 개수를 구하는 경우에는 ▶ P(n, r) = n × (n - 1) × .. 2021. 7. 28.
[Tistory] 모바일에서 티스토리 수익 간단히 보는 방법 블로그 운영 목적 중 하나는 수익 창출일 것이다. - 카카오 애드핏 승인 후기 - 구글 에드센스 승인 후기 및 Tip - 구글 애드센스 승인 후 광고 설정 - 구글 애드센스 핀번호 등록하기 - 구글 애드센스에 Tistory 블로그 2개 이상 등록하기 Tistory에서는 [블로그 관리]에서 [수익] 현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블로그 관리는 웹 브라우저에서 보다 편하고 다양하게 할 수 있지만 티스토리 전용 App을 통해서도 통계 자료은 물론 간단한(?) 작업도 할 수 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해당 App을 통해서 수익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룬다. 정확히는 모바일 웹을 이용하는 것이다. ▶ 네이티브 앱? 모바일 웹? 하이브리드 앱? 네이티브 앱? 모바일 웹? 하이브리드 앱? 현재는 모바일 어플을 통해서.. 2021. 7. 27.
[Tistory] 티스토리 구독자 수 확인하는 방법 (WEB, APP) 블로그 관리는 보통 PC에서 WEB을 통해서 이루어지지만 방문자 수 / 수익 관리 등을 APP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 https://www.tistory.com/feed 모바일 앞서 말한 것처럼 앱스토어에서 "티스토리" 어플을 받을 수 있다. 앱에 접속하면 스크롤을 제일 밑으로 내리면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혹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도 가능 하단에 블로그 아이콘 클릭 [구독자] 부분 클릭 아래와 같이 구독자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2021. 7. 27.
[BOJ] 백준 2231 분해합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2231 Approach 완전탐색 유형 문제이다. 완전탐색 기법이란? 가능한 모든 값을 대입해보는 무식한(?) 방법에 해당된다. 문제 내용 속에서 특정 규칙을 찾아서 모든 Case를 대입해보지 않고도 풀리는 경우도 있지만 충분한 제한 공간과 시간이 주어진다면 zoosso.tistory.com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야 한다. → X가 생성자 일 때, X + (X의 요소들 각각을 더한 수) = N ex) 156 + 1 + 5 + 6 = 168 (=N) 수학적 특성을 찾아내서 탐색 범위를 줄일 수도 있겠지만 N의 범위가 크지 않기 때문에 1 ~ N 까지 모든 Case를 시도해보면 된다. 생성자 X의 구성하는 숫자를 하.. 2021. 7. 27.
(후기) 창의성 면접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Why 예전에 창의성 면접을 준비하면서 "창의성 면접 평가요소나 취지가 무엇일까?" 고민해본적이 있었다. 창의성 면접을 본 지원자들의 공통된 반응은 "준비할 수 없는 내용이다." 라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창의성 면접의 목적은 어떤 문제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논리적 추론만으로 짧은 시간 안에 근사치를 추정하는 것. 면접을 앞둔 시점에서는 시사상식에 밝지도 내 생각을 논리적으로 말하는 것도 쉽지 않다. 서류 통과하게 되면 짧은 시일 내에 면접을 진행해야하기 연습도 쉽지 않다. 후기 많이 알려진 창의성 면접 문제로는 아래와 같은 예시들이 있다. - 버스안에 골프공이 몇 개 들어갈까? - 한라산을 서울로 옮기려 할 때 드는 비용? 더 많은 질문은 인터넷 검색하면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직접 겪어본 문제들은.. 2021. 7. 25.
TeamViewer 설치 및 간단 사용법 팀뷰어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환경이 일상에서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인 온라인 시스템으로 zoom이 많이 활용되지만, ▶ zoom 활용하기 zoom 활용하기 Zoom ZOOM은 화상회의 서비스 기반 어플로 PC, 모바일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무료와 유료버전이 나와있는 경우, 전문적으로 다루지 않는 경우에는 무료버전으로도 잘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최대 100 zoosso.tistory.com 다른 PC에 원격으로 접속해 간단히 작업하는 것으로는 TeamViewer를 활용해보면 좋다. 사용법이 간단하면서 개인 사용자는 무료이다. 로그인 없이 사용자간 접속 정보만 있으면 된다. 또한 가벼운 프로그램이면서 원격으로 상태를 볼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 선호한다. 설치 구글에 검색하면 쉽게 다운 받을 수 있다... 2021. 7.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