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sh 구현 (양방향, 더미노드 0개, *head) 구현방식과 비교하면 좋습니다.
양방향이지 않기 때문에 이전 노드(prev)에 대한 구현 차이가 있습니다.
삭제될 때, 이전 노드(prev)에 해당하는 노드의 연결처리가 필요합니다.
Hash 구현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Hash Function을 통해서
key → Hash Index로 변환되는 결과에서 중복 Hash Index가 적게 발생하는 것이다.
즉, 충돌을 적게 발생시키는 것이 효율적인 Hash Function 이다.
Hash Function을 잘 만든다면 충돌 처리를 할 필요는 없지만,
보장할 수 없는 경우라면 크게 Chaining 기법과 Open Address 기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구조체 정보
struct Node {
int id;
Node* next;
Node* alloc(int _id, Node* _next) {
id = _id, next = _next;
return this;
}
}buf[MAX_N], * head[SIZE];
int bcnt;
bcnt : 현재 사용된 buffer 개수
처음 정적 할당받은 buf[MAX_N]에서 가져다 사용한다.
*head[size] : 각 Hash Index 연결리스트의 첫번째 위치
key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때는 해당 연결리스트를 탐색한다.
초기화
void init() {
bcnt = 0;
for (int i = 0; i < SIZE; ++i) {
head[i] = 0;
}
}
- Test Case가 1개라면 필요없지만, 여러 Test Case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Hash Table을 Clear 해주어야 한다.
- 지금까지 할당해준 buf[]의 개수를 「0」 으로 해준다.
- 각 연결리스트 첫번째를 가리키는 head[]를 NULL(0) 처리
추가 (삽입)
- 비어있는 연결리스트에 추가하는 경우
- 원소가 이미 존재하는 연결리스트에 새로운 원소 추가하는 경우
for (int i = 0; i < N; ++i) {
int key = hash(id[i]);
head[key] = buf[bcnt++].alloc(id[i], head[key]);
}
stack 처럼 Hash Table 연결리스트에서 앞쪽에 추가된다.
삭제
void remove(int id) {
int key = hash(id);
Node* prev = 0;
Node* cur = head[key];
for (; cur; cur = cur->next) {
if (cur->id == id) {
// 첫번째 노드인 경우
if (cur == head[key]) {
head[key] = cur->next;
return;
}
// 첫번째 노드 이후에 위치한 경우
prev->next = cur->next;
}
// prev가 cur을 뒤따른다.
prev = cur;
}
}
- 중간에 위치한 원소를 삭제하는 경우
- 첫번째 원소를 삭제하는 경우 (삭제 후 다른 원소가 존재)
- 마지막 위치한 원소를 삭제하는 경우
- 삭제 후 연결리스트가 비워지는 경우
전체 Code
- key 충돌을 Open Addressing이 아닌 Chaining 기법으로 처리
- id 값을 가지는 Node 객체는 20개로 제한 (여유로운 크기를 위해 + 5)
- Stack처럼 새로운 Node가 앞쪽에 push (head 위치)
- key 값은 return id % 10;으로 처리
#include <stdio.h>
const int MAX_N = 20 + 5;
const int SIZE = 10;
struct Node {
int id;
Node* next;
Node* alloc(int _id, Node* _next) {
id = _id, next = _next;
return this;
}
}buf[MAX_N], *head[SIZE];
int bcnt;
int hash(int id) {
return id % 10;
}
void init() {
bcnt = 0;
for (int i = 0; i < SIZE; ++i) {
head[i] = 0;
}
}
void print() {
for (int i = 0; i < SIZE; ++i) {
Node* p = head[i];
// 연결리스트에 원소가 존재하는 경우
if (p) {
printf("[%2d]: ", i);
for (; p; p = p->next) {
printf("%d - ", p->id);
}
printf("\n");
}
}
printf("\n\n");
}
Node* probing(int id) {
int key = hash(id);
Node* p = head[key];
for (; p; p = p->next) {
if (p->id == id)
return p;
}
return 0;
}
void remove(int id) {
int key = hash(id);
Node* prev = 0;
Node* cur = head[key];
for (; cur; cur = cur->next) {
if (cur->id == id) {
// 첫번째 노드인 경우
if (cur == head[key]) {
head[key] = cur->next;
return;
}
// 첫번째 노드 이후에 위치한 경우
prev->next = cur->next;
}
// prev가 cur을 뒤따른다.
prev = cur;
}
}
int main() {
int N = 20;
int id[] = {
10, 110, 1010, 22, 12,
52, 777, 93, 19, 90,
63, 5, 4242, 42, 555,
333, 88, 878, 123, 789,
};
init();
for (int i = 0; i < N; ++i) {
int key = hash(id[i]);
head[key] = buf[bcnt++].alloc(id[i], head[key]);
}
print();
remove(1010); print(); // 중간 원소
remove(90); print(); // 첫번째 원소
remove(10); print(); // 마지막 원소
remove(110); print(); // head[0] 연결리스트가 비워지는 경우
}
- 단방향이기 때문에 Node 삭제 시 앞에 위치한 "prev Node"를 처리하기 위해서
Node 탐색 시 두 개의 포인트 구현 (*prev, *cur)
- 첫번째 노드가 삭제되는 경우에는 *head[key]가 다음 Node를 가르키도록 처리
(다음 Node가 없을 수도 있다.)
Reference
- Hash 구현 (양방향, 더미노드 0개, *head)
- Hash (양방향, 더미노드 2개, *head, *tail)
- Hash (양방향, 더미노드 2개, head, tail)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sh (양방향, 더미노드 2개, head, tail) (0) | 2021.06.10 |
---|---|
Hash (양방향, 더미노드 1개, head) (0) | 2021.06.09 |
Hash (양방향, 더미노드 1개, *head) (0) | 2021.05.28 |
[Hash] Hash 구현 (양방향, 더미노드 0개, *head) (0) | 2021.05.11 |
원형 큐 (Circular Queue) 동적할당 + Memory Pool 방식 (0) | 2021.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