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05

[Git] 특정 파일 버전 되돌리기 Git Checkout 활용바로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기git checkout {파일명}  특정 버전으로 되돌리기git checkout {Commit Hash} {파일명}  Git Restore 활용Git 2.23.0에서는 restore 명령어 활용도 가능하다.현재 커밋(HEAD) 상태로 특정 파일을 복원git restore {파일명}  특정 파일을 Staging Area에서 제외(unstage)하여 Working Directory 상태로 되돌린다.ex) git add로 스테이징했지만, 다시 수정하거나 제외하고 싶은 경우git restore --staged   특정 commit으로 파일 복원git restore --source={Commit Hash} {파일명}  📌 [Git 깃] 유용한 Alias 설정.. 2024. 11. 28.
[SW 개발] TTF (Time To Failure)와 TAT(Turnaround Time) TTF (Time To Failure)•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다가 처음 고장(Failure)까지 걸리는 시간• 특정 불량 현상 재현 시간ex) 시스템, 장비, 제품 등의 결함 또는 고장을 예측/모니터링  TAT (Turnaround Time)작업, 서비스, 생산 과정 또는 업무 프로세스의 완료에 걸리는 시간ex) 주문 처리 시간, 고객 서비스 응답 시간, 제품 생산 및 배송 시간 등 Domain과 목적에 따라 어떤 용어가 적합할지 다릅니다.• "TTF"는 시스템 신뢰성 및 결함 관리와 관련이 있고,• "TAT"는 업무 및 서비스 프로세스의 효율성 및 고객 서비스와 관련이 있다. 2024. 11. 27.
VS Code로 파일 비교하기 파일 비교 by VS CoodeVS Code에서 Extension 없이도 2개의 파일을 비교할 수 있다. ① 비교하고자 하는 파일 선택② 우클릭 - [Comapre Selected] 아래와 같이 2개 파일을 비교해준다.다른 방법으로는 단축키 입력창으로 들어가서 (CTRL + SHIFT + P)"compare"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옵션들이 존재한다.  Compare Active File With..현재 열려 있는 파일과 다른 파일 비교 Compare Active File with Clipboard현재 열려있는 창과 클립보드 내용 비교 Compare Active File with saved현재 수정된 코드와 저장전 코드 비교= 작업 중인 문서가 저장하기 전 이라면, 저장 전과 현재 코드를 비교  예를 들어.. 2024. 11. 26.
[SW 테스트] Regression / Long Run / Aging Test SummaryRegression Test: 코드 변경에 대한 기능적 검증.Long Run Test: 장시간 실행하여 안정성 확인.Aging Test: 장시간 실행하여 리소스 관리와 노화로 인한 문제 검출하는데 초점.Regression Test (회귀 테스트)이전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던 기능이새로운 코드 변경이나 수정으로 인해 깨지지 않았는지 확인   Sanity Test란가 테스트가간결하면서 특정 기능에 집중되었다면Regression은 다음 단계에 해당한다.• Sanity Test: A, B, C 기능• Regression Test: A, B, C, D, E, F, … 기능 Sanity Test란Sanity Test란SW 개발과 품질 관리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시스템의 기본적인 동작이 정상적인지 확인하는 간단.. 2024. 11. 25.
[Git] commit 순서 변경하기 Git Commit 순서 변경버전관리를 위해서 Commit 순서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git rebase -i  로 가능하다. 📌 [Git 깃] git rebase [Git 깃] git rebaseRebase란? • rebase는 "re" + "base" 로 재배치 하는 것이다. • merge와 비슷한 개념이지만 commit history 결과 차이가 있다. rebase가 commit history 깔끔하게 정리해주는 편이다. • rebase는 commit 이력을 변경할zoosso.tistory.com아래와 같이 commit 에서1 → 3 → 2 로 되어 있다.  rebase로 편집 모드 전에 commit 순서를 조정하면 된다.편집 모드 진입 전 yy 명령으로 행 복사하고 dd 명령어로 삭제p .. 2024. 11. 24.
[깃] Git Branch 삭제 UI 만들기 Git Branch 삭제 UI 만들기버전 관리하다 보면 로컬 브랜치 정리하는 경우가 있다. 📌 [깃 Git] git branch [깃 Git] git branchBranch 관련 옵션 로컬 branch 목록(정보) 확인 $ git branch ▶ 브랜치 목록과 함께 현재 위치한 branch를 확인할 수 있다. ▶ "*" 표시가 있는 곳이 현재 위치한 branch 이다. ※ git log를 통해서 보이는 "HEAD"zoosso.tistory.com 브랜치 삭제하려면목록(이름)을 확인하고 브랜치명을 가지고 삭제하는데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로컬 브랜치에 번호를 부여해서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브랜치가 삭제하여 UX/UI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 현재 브랜치와 Master 브랜치는 목록에서 제외• Ctrl + .. 2024. 11. 23.
패리티 코드와 해밍코드 패리티 코드 (Parity Code)오류 감지하는 간단한 방법 중 하나로데이터 비트에 하나의 추가 비트를 붙여 전체 비트의 홀수성 또는 짝수성을 유지하는 방식 짝수 패리티 (Even Parity): 전체 데이터 비트의 1의 개수를 짝수로 만든다.홀수 패리티 (Odd Parity): 전체 데이터 비트의 1의 개수를 홀수로 만든다.* 짝수/홀수 패리티 중 어떤 패리티를 사용하지 미리 동기화 필요 ex) 데이터 '1010'• 짝수 패리티 비트: 추가 비트 '0' → 10100• 홀수 패리티 비트: 추가 비트 '1' → 10101 구현이 간단하며, 1 비트 오류를 효과적으로 감지하지만오류를 수정하지 못하며 2비트 이상의 오류는 감지할 수 없다.해밍 코드 (Hamming Code)오류 검출뿐만 아니라 오류 수정.. 2024. 11. 22.
페어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 페어 프로그래밍 이란애자일(Agile) 개발 방법론에 자주 사용하는 기법으로2명 이상의 개발자 함께 코드를 작성한다. 코딩할 때 누군가 지켜본다고불편하면서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 프로그래밍을 스스로 학습할 수도 있지만자기만의 방식에만 갇히다 보면성장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  페어 프로그래밍 장점• 실시간으로 코드 리뷰가 이루어져 버그 조기 발견• 팀원 간 도메인 지식 공유• 서로의 경험과 기술 교류  효과적인 페어 프로그래밍 방법• 명확한 목표 설정• 주기적인 역할 전환• 다양한 조합 구성 (서로 다른 스타일, 주니어와 시니어 등 )• 실시간으로 코드 작성 하는 것을 공유해보기• 하루 일정 시간을 정해 페어 프로그래밍을하고, 이후 독립적으로 작업• 주기적으로 페어 바꾸기 2024. 11. 21.
Sanity Test란 Sanity Test란SW 개발과 품질 관리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시스템의 기본적인 동작이 정상적인지 확인하는 간단하면서 빠른 검사이는 복잡한 테스트 수행 전 기존 동작에 문제가 있는지, 기본적인 동작은 하는지 등 "정신이 멀쩡한(sane)" 상태인지 확인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전체 테스트를 하면 좋겠지만 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에 주로 특정 문제나 변경된 기능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 있다.  When?• 변경 사항이 주요 로직을 망가뜨리지 않는지 확인• 빌드(Build) 성공 후 Regression Test할 가치가 있는지 확인• 특정 Bug Fix 후 재발되지 않았는지 확인 예를 들어, 로그인 기능을 수정하였을 때대소문자 구분, 캐시 기능, 아이디/암호 저장, 패스워드 찾기 등관련된 여러 기능을 같이 점.. 2024. 11. 20.
[Git 깃] 유용한 Alias 설정 목록 유용한 Git Alias[Git 깃] git alias에서 기본적인 Alias 설정에 대해 알아보았다.이외 어떤 유용한 Alias 설정들이 있을까?각자의 키워드에 맞춰서 설정하면 될 것 같다. [Git 깃] git alias별칭(Alias)를 통해서 비교적 긴 명령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heckout" → "co"로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config 파일 직접 설정 ~/.gitconfig 파일을 열어서 [alias] 부분에 커맨드 등록하는zoosso.tistory.com상세 로그 확인lg = log --oneline --graph --decorate --all 깔끔한 그래프 형식으로 모든 브랜치와 커밋 이력 확인 hist = log --pretty=format:"%h %ad | %.. 2024. 11.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