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06

[BOJ] 백준 2475 검증수 Approach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2475 입력받는 인자를 제곱해서 더해준다. 더해준 값에서 마지막으로 %10 처리 한다. #include int val, sum; int main() { // freopen("input.txt", "r", stdin); for (int i = 0; i < 5; i++) { scanf("%d", &val); sum += (val * val); } printf("%d\n", sum % 10); } 2022. 1. 5.
[C++] [STL] next_permutation 순열과 조합은 알고리즘 문제 풀면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많이 사용된다. 문제 난이도에 따라 순열/조합 구현만 요구할 수 있지만 [경우의 수 + α] 를 요구하는 문제가 많은 편이다. 순열(Permutation)이란 서로 다른 n개의 원소에서 r개 선택해서 줄을 세우는 것이다. 「줄을 세우는 것」은 순서에 따라 각기 다른 경우로 취급 cf. 조합(Combination)은 순서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경우로 처리 ex) 원소가 3개인 집합 {1, 2, 3}에서 2개 뽑는 경우의 수 • 순열: {1, 2} {2, 1} {2, 3} {3, 2} {1, 3} {3, 1} → 3P2 • 조합: {1, 2} {2, 3} {1, 3} → 3C2 📌 순열과 조합 순열과 조합 (백준 N과 M 시리즈) 순열과 조합 순열(Perm.. 2022. 1. 5.
[BOJ] 백준 2455 지능형 기차 Approach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2455 기차가 역에 도착하여 사람들이 내리고 올라탄다. 가장 많이 사람이 탔을 때, 사람 수를 구하는 문제로 문제 조건도 명확(?)하고 간단한 것 같다. [올라타는 사람(up) - 내리는 사람(down)] 값을 누적해가며 최대값을 갱신해간다. max 함수를 간단하게 구현했는데, STL을 이용해도 좋을 것 같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line int max(int A, int B) { return A > B ? A : B; } int down, up, people, ans; int main() { // freopen("input.txt", "r", stdin); for (int i = 0;.. 2022. 1. 4.
[C++] sort() 함수란? 개발할 때나 코딩 테스트에서 많이 활용되는 정렬(Sort) 단순히 정렬된 원소를 요구하는 경우도 많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정렬 기법을 응용해서 문제 접근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C++] 에서도 이러한 정렬을 라이브러리로 제공해준다. 📌 [ps] 문자열 사전 오름차순 비교 및 정렬 📌 [ps] 여러 정수 기준에 따른 우선순위 비교 및 정렬 • 헤더파일 #include • 함수원형 void sort(T start, T end, Compare comp); • Default는 오름차순이지만 3번째 인자로 정렬 기준을 줄 수 있다. • sort(arr, arr+n); • sort(v.begin(), v.end()); • sort(v.begin(), v.end(), comp); // 사용자 정의 함수 • sort(.. 2022. 1. 1.
stable_sort()와 sort() 차이 알아보기 배열이나 vector 원소를 정렬하는데 있어서 자주 사용되는 sort() C++에는 stable_sort()라는 것도 있다. 📌 [C++] sort() 함수란? [C++] sort() 함수란? 개발할 때나 코딩 테스트에서 많이 활용되는 정렬(Sort) 단순히 정렬된 원소를 요구하는 경우도 많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정렬 기법을 응용해서 문제 접근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C++] 에서도 이러 zoosso.tistory.com 둘의 가장 큰 차이는 원소 순서를 보장 여부로 「안정성」이지 않을까 싶다. • sort() 기존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 stable_sort() 기존 순서를 보장한다. ex) ID를 기준으로 비교 정렬하지만 동일한 ID인 경우 sort() 결과가 예상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예시.. 2022. 1. 1.
[노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롤업(Rollup) 기능 활용 노션에서 관계형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롤업 기능까지 활용하면 좋다. 롤업 기능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열 정보를 구체적으로 표시해준다. 📌 [노션] 관계형(Relation) 데이터베이스 사용해보기 [노션] 관계형(Relation) 데이터베이스 사용해보기 노션에서는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끼리 연결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정 행의 데이터를 페이지 형태로 가져오는 기능이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동일한 페이지에 없더라도 zoosso.tistory.com 아래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분기별 지출액] 속성으로 [롤업] 선택 ① 월 별로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선택 ②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열 선택 ③ 열 정보 표시 (ex. 원본 표시) "원본 표시" 뿐만 아니라 합계, .. 2021. 12. 31.
[노션] 관계형(Relation) 데이터베이스 사용해보기 노션에서는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끼리 연결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정 행의 데이터를 페이지 형태로 가져오는 기능이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동일한 페이지에 없더라도 각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다. 속성 유형으로 [관계형] 클릭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해서 선택할 수 있다.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오고 싶은 정보(행) 선택 서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페이지가 서로 떨어져 있더라도 서로 연관지어서 볼 수 있기에 유용한 기능인 것 같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롤업 기능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좋다. 📌 [노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롤업(Rollup) 기능 활용 [노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롤업(Rollup) 기능 활용 노션에서 관계형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롤업 .. 2021. 12. 31.
[BOJ] 백준 2292 벌집 Approach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2292 벌집에 새겨져 있는 숫자 규칙을 분석하면 필요한 최소 이동횟수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1]: 1 • [2]: 2 3 4 5 6 7 • [3]: 8 9 10 11 12 ... 19 • [4]: 20 21 22 23 ... 37 • [5]: 38 39 40 41 ... 61 각 껍데기(?)별로 증가하는 개수 ▶ 1 → 6 → 12 → 18 → ... N이 주어졌을 때 몇 겹에 해당되는지 계산해보면 된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N, ans, cnt, sum; int main() { // freopen("input.txt", "r", stdin); scanf("%d", .. 2021. 12. 30.
[노션] 데이터베이스 요약 기능 노션의 데이터베이스 하단에는 요약(계산) 기능이 있다. 기본(?) 속성에서는 아래와 같은 항목을 [계산] 할 수 있다. [계산] 기능을 통해 [수식] 속성과는 다른 활용이 가능하다. 📌 [노션] 데이터베이스 수식(formula) 속성 활용 [노션] 데이터베이스 수식(formula) 속성 활용 노션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수식(formula) 속성을 활용해서 엑셀과 유사한 기능 보여준다. 엑셀만큼 복잡하면서 다양한 산출은 못하더라도 용도나 접근성 측면에서는 노션의 유연함이 더 좋은 것 zoosso.tistory.com 또한 [계산] 항목은 텍스트 / 숫자 / 날짜 속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 ex) 날짜 속성의 경우 • [가장 이른 날짜]: 가장 이른 날짜가 오늘로부터 며칠 전인지. • [최근 날짜]: 가장 늦.. 2021. 12. 30.
[노션] 데이터베이스 수식(formula) 속성 활용 노션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수식(formula) 속성을 활용해서 엑셀과 유사한 기능 보여준다. 엑셀만큼 복잡하면서 다양한 산출은 못하더라도 용도나 접근성 측면에서는 노션의 유연함이 더 좋은 것 같기도 하다. 🤔 if(조건, 참, 거짓) "수식"을 작성하고 오른쪽의 [완료] 버튼을 누르면 된다. true / false 라서 체크박스 형태로 결과가 나왔는데, 별도의 텍스트 메시지를 출력하고자 한다면 아래 형태로 작성하면 된다. if(prop("연차") < prop("경력"), "O", " ") 결과 예시 해당 되면 "O" 표시를 하고, 그렇지 않으면 공백으로 표시하였다. 그 밖에 사칙연산과 같은 기본적인 연산과 논리 산축이 가능하다. 연산 • add(A, B); 두 열을 더한다. (A + B 형태 가능, te.. 2021. 12. 30.
반응형